올해 3월부터 전국 모든 고등학교 1학년을 대상으로 고교학점제가 전면 시행됐다. 고교 내신은 대학 입시와 직결되기 때문에 새로운 제도에 당면한 학생과 학부모의 불안감은 커질 수밖에 없다. 에듀플러스는 지난 26일 교육부가 진행한 학부모 대상 '고교학점제 온라인 설명회'를 바탕으로 고교학점제 도입으로 바뀌는 학점 이수, 내신 평가, 학생부 기재 관련 사항 등을 정리했다.
고교학점제는 학생이 진로와 적성에 따라 필요한 과목을 선택·이수하고 학점을 취득해 졸업하는 제도다. 가장 큰 변화는 학생이 스스로 과목 선택, 학점 관리, 진로 탐색 및 설계, 학업 계획 및 시간표 조정 등을 선택해야 한다는 점이다. 졸업 인정 취득 학점은 3년간 192학점 이상이다. 수업 횟수의 3분의 2 이상 출석과 학업성취율 40% 이상이 돼야 과목 이수 인정이 된다.
과목 선택은 학부모들이 많이 우려하는 것처럼 고1부터 갑자기 진행하는 것이 아니다. 본격적인 선택 과목 수업은 고2부터 진행한다. 1학년 때는 공통과목을 들으면서 진로·적성 검사와 상담, 선택 과목 안내, 과목 사전 수요 조사 등을 통해 탐색 시간을 가진다. 모든 학교는 담임, 교육과정부장, 진로·진학 상담교사 등으로 구성된 교육과정 이수지도팀을 구성해 단계별로 지속적인 안내 및 지원을 한다. 교육 전문가들은 시간표 구성은 '함께학교 누리집 e-플래너'로 진로설계서와 학업설계서를 작성해 보고, 무료 컨설팅도 받아보길 추천했다.
내신 평가 방식과 학생부 기재 방식도 변화가 있다. 9등급제에서 5등급제로 개편되면서, 전교 석차 10% 이내면 1등급이다. 과목 평가 결과는 A~E로 표시되는 성취도와 1~5등급으로 표시되는 석차등급을 함께 기재한다. 고교 전 학년의 모든 과목 성취도가 대학에 제공되지만 표준편차는 미산출한다. 학기 단위 과목 운영에 따라 학생부 교과 평가는 학기별로 마감한다. 방과 후 활동, 자율동아리, 개인봉사활동, 수상경력, 자격증 및 인증취득상황, 독서활동 등 비교과 영역은 기존처럼 대입에 미반영한다.
▶[출처] 전자신문, 정승은 기자 evelin@etnews.com